전문자료

A~Z

기타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제3급 법정감염병]

■ 일본뇌염 자료

 

◾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 일본뇌염[바로가기]

CDC Japanese encephalitis [바로가기]

 

◾지침

질병관리본부 2017 예방접종대상 감염병 사업관리 지침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 법정감염병 진단 신고기준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2017년 개정판)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실험실검사법 > 바이러스감염증 > 일본뇌염 [내려받기]

 

◾연구자료 및 논문

<주간 건강과 질병> 2015년 국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현황 [바로가기]

<주간 건강과 질병> 2011-2015년 국내 일본뇌염 환자의 역학적 특성 [바로가기

 

 

 

■ 개요

 

◾ 일본뇌염은 Flavivirus속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에 물리면 감염되며, 모기는 야생 조류나 일부 포유류로부터 감염됨. 주로 돼지가 바이러스의 증폭 숙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아시아 지역 소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뇌염으로 매년 3~5만 명이 감염되어 약 30%의 사망률을 보이며 회복되어도 1/3에서 신경계 합병증을 남김. 일단 일본뇌염에 걸리면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예방이 최선이며 예방접종사업과 관련하여 개선된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

 

◾ 병원체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 감염경로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Culex속의 모기에 의해 전파됨

 

◾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사람, 말, 돼지, 가금류에서 발생

 

 

 

■ 발생현황

 

◾ 국외 발생현황

- 일본뇌염은 아시아의 많은 국가에서 바이러스성 뇌염의 주요 원인이며, 해마다 약 68,000건의 임상건수가 보고되고 있음 

- 전세계적으로 3~15세 이하의 연령에서 연간 3~5만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감염이 되어 증상을 나타낼 경우 30%에서 사망하고 생존자의 3/1이상에서 신경계 합병증을 남김

- 동남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의 24개국에서 풍토병화되어 발생하고 있으며, 30억 이상의 인구가 감염에 노출되고 있음

-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예방접종이 필요하며, WHO에서는 일본뇌염이 공중보건학적 이슈로 인식되는 모든 지역에서 국제적인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음

 

70ad496cc1c4bd97197b71c3b91e2443_1504599069_1223.png 

<일본뇌염 발생 국가>

 

 

◾국내현황
  - 최근에는 연간 20명 내외의 발생보고가 있음

 

  - 최근 10년간(2006-2015) 국내 일본뇌염 환자 발생 현황최근 10년간(2006-2015) 국내 일본뇌염 환자 발생 현황

2163f2cecf145747309c682f03b09d1c_1489109729_4816.png 

 

 

■ 증상(사진자료 첨부)

 

◾ 잠복기 : 7~14일
◾ 임상증상
-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이나 250명 중 한 명에서 임상 양상이 나타남
- 급성 뇌염, 무균성 수막염, 비특이적인 열성 질환 등으로 발현할 수 있음
- 현성 감염인 경우 급성으로 진행하여, 고열(39~40℃),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지각 이상 등을 보임
- 의식장애, 경련, 혼수 등에 이르며 회복되어도 1/3에서는 신경계 합병증이 남을 수 있음
◾ 합병증 : 침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

 

 

2163f2cecf145747309c682f03b09d1c_1489108882_6793.jpg

<작은 빨간집모기 암컷>

 

 

 

■ 진단

 

◾ 검체(뇌조직,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특이 IgM 항체 검출

  * 형광항체법으로 항원 검출
  *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Hybridization법, RT-PCR 등

 

검사 의뢰 방법

 

※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의뢰서와 함께 검체를 보냄
   (담당부서-신경계바이러스과:전화 043-719-8492~8499, 팩스전송 043-719-8519)
• 검체
   - 혈청 (1~2 ml) : 급성기(발병후 가능한 빨리 채취)
   - 뇌척수액(1~2 mL)
• 운송
   - 바이러스 배양용 검체 : 4℃를 유지하고 보관시는 -70℃가 좋으나 1주일 이내 운송하여 접종이 가능한 경우 -20℃에 보관이 가능함
   - 항체검사용 혈청 : 4℃를 유지하여 보냄

 

 

 

■ 신고기준

 

◾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 신고시기 : 지체 없이 신고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일본뇌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일본뇌염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뇌조직,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특이 IgM 항체 검출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입원 환자의 격리 : 표준 주의

 

 

 

■ 치료

 

◾ 대증치료

 -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호흡장애, 순환장애에 대한 보존적인 치료

 

 

 

■ 예방

 

◾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환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 예방접종

 - 불활성화 백신

    • 기초접종: 12개월~23개월(7~30일 간격)에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 추가접종: 만 6세와 만 12세에 각 1회 시행

    • 접종용량 및 방법

­       : (쥐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 3세 미만에서 0.5mL, 3세 이상에서 1.0mL 피하주사

­       : (베로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 3세 미만에서 0.25mL, 3세 이상에서 0.5mL 피하주사

 

 - 약독화 생백신

    • 기초접종: 12개월~23개월에 1차 접종하고, 12개월 후 2차 접종

    • 접종용량 및 방법: 0.5mL 피하주사

 

 

 

■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 만 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의 발령 기준

2163f2cecf145747309c682f03b09d1c_1489109387_6254.png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의 발령 기준>

  

2163f2cecf145747309c682f03b09d1c_1489109678_9035.png

<일본뇌염 접종기준>

 

 

 

■ 출처

Prevent mosquito-borne disease on holiday overseas

https://healthywa.wa.gov.au/Articles/N_R/Prevent-mosquito-borne-disease-on-holiday-overs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