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자료

A~Z

기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증 [제4급 법정감염병]

■ 관련정보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년 개정판)[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 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내려받기]

 

 

 

■ 개요

HPV는 Parvoviridae 과 Papillomavirus 속에 해당하며 약 8,000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진
이중나선상 DNA 바이러스이다. HPV는 직경이 55 nm인 20면체의 외각을 가지며 초기유전자(early
region, E: E1, E2, E4, E5, E6, E7)와 후기 유전자(late region, L:L1, L2)의 8개 유전자와 이들을
조절하는 영역인 상류 조절유전자(upstream regulatory region)로 구성된다(그림 20-1). 특히, E1과
E2 영역은 바이러스 DNA 복제를 담당하고 E6과 E7은 숙주의 발암 억제 단백질인 p53과 pRb
(retinoblastoma protein)에 각각 결합하여 각질세포를 불멸화시켜 악성종양 상태로 진행시킨다.
L1과 L2는 캡시드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바이러스의 껍질을 구성하며 L1은 주요 캡시드 단백질(major
capsid protein)을, L2는 부캡시드 단백질(minor capsid protein)을 암호화하여 HPV의 항원성을
결정한다.

 

◦종류

HPV는 조직친화성에 따라 크게 피부친화형과 점막친화형으로 나뉜다. 또한 역학적 연관성에 따라
주로 암을 유발하는 고위험군과 양성 병변을 유발하는 저위험군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고위험군으로는
HPV 16과 18이 있으며, 그 외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 69, 73, 82 등이 있다.
고위험군 HPV 감염과 관련 있는 암으로는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 음경암, 항문암, 구강암,
구인두암 등이 있다. 저위험군으로는 HPV 6, 11이 대표적인데, 저위험군 HPV 감염과 관련있는
질환으로는 생식기 사마귀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이하
RRP) 등이 있다.

 

◦감염요인

HPV 감염의 주요 위험요인은 성생활이다. 최근 또는 평생의 성파트너 수가 많을수록, 상대자의
성파트너 수가 많을수록 HPV 감염 위험이 높다. 연령별로는 성생활이 시작되는 10~20대의 젊은
연령에서 HPV 감염률이 높다. 성접촉 이외의 경로로 HPV에 감염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임상증상

◦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이고 자연적으로 소멸
◦ 지속적인 HPV 감염은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전암병변, 항문 생식기의 사마귀와
호흡기에 생기는 유두종 병변 등을 일으킴
◦ HPV 16, 18은 자궁경부암 원인의 70%를 차지하며, HPV 6, 11은 생식기 사마귀
원인의 90%를 차지함
◦ HPV 감염 후 자궁경부 전암병변을 거쳐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는데 평균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림

 

 

■ 진단

HPV DNA 증폭(PCR), DNA microarray 및 hybrid capture 법에 의한 HPV 존재 및
유전형 확인

 

 

 

■ 치료

◦ HPV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음
◦ 치료는 HPV-관련성 병변의 치료에 집중됨. 자궁경부, 질, 외음부 전암병변과 생식기
사마귀에 대한 치료법은 냉동요법(cryotherapy), 전기지짐술(electrocautery),
레이저치료, 외과적 절제술 등 병변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음

 

 

 

■ 예방

◦ 안전한 성생활
◦ 예방접종

6de4a652d4077f354bbd610c9c8c4784_1497578280_3164.png